본문 바로가기

8월23일 처서(處暑), 한국의 전통적인 24절기 중 열네 번째

몽비아 2023. 8. 7.
목차를 클릭하면 원하는 글로 이동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처서(處暑): 한국의 전통적인 24절기 중 열네 번째

처서(處暑)는 한국의 전통적인 24절기 중 열네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태양의 황도(黃道)상 위치로 정해진 시기입니다.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놓여 있으며, 태양이 황경 150도에 달하는 시점으로, 양력으로는 8월 23일 무렵, 음력으로는 7월 15일 무렵 이후에 시작됩니다.

 

처서

 

더위를 떠나는 가을의 시작

 


처서는 여름이 지나가면서 더위가 가라앉고, 서늘한 가을을 맞이하는 때를 의미합니다. 한국의 자연은 처서를 통해 미묘한 변화를 보여줍니다. "땅에서는 귀뚜라미 등에 업혀오고, 하늘에서는 뭉게구름 타고 온다."라는 말처럼, 여름이 점점 물러나고 가을이 점차 다가오는 계절의 변화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시기입니다.

 

예로부터 전해지는 농사와 생활의 지혜


처서가 지나면 따가운 햇볕이 누그러져 풀이 더 이상 자라지 않기 때문에 농부들은 논두렁의 풀을 깎거나 산소를 찾아 벌초를 합니다. 또한 예전의 부인들과 선비들은 여름 동안 장마에 젖은 옷이나 책을 음지(陰地)에 말리는 음건(陰乾)이나 햇볕에 말리는 포쇄[曝曬]를 처서 무렵에 진행하곤 했습니다.

 

농사의 풍흉을 결정짓는 처서의 날씨


처서 무렵의 날씨는 농사의 풍흉을 결정짓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가을의 기운은 왔지만 여전히 햇살은 왕성해야 하며 날씨는 쾌청해야 합니다. 처서 무렵이면 벼의 이삭이 패는 때이고, 이때 강한 햇살을 받아야만 벼가 성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벼가 한꺼번에 성장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면 "처서에 장벼(이삭이 팰 정도로 다 자란 벼) 패듯"이라고 표현하는 것도 있습니다. 이는 처서 무렵의 벼가 얼마나 성장하는가를 잘 보여주는 속담으로, 농부들의 관심과 걱정의 정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결론


처서(處暑)는 한국의 전통적인 24절기 중 가장 특별한 시기 중 하나입니다. 여름의 더위가 점점 가라앉고 가을의 기운이 돌아오는 때로, 자연의 변화와 농사와 생활의 지혜가 어우러진 계절입니다. 처서의 날씨는 농사의 풍흉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농부들은 이 시기를 주의깊게 관찰하며 농사와 생활을 보살펴왔습니다.

언제나 처서비를 멀리하고, 따스한 햇살과 맑은 날씨를 바라며, 풍성한 수확과 행복한 가정을 기원합니다.

그리드형

댓글


Scroll Triggered Advertis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