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2일에는 다양한 선거구에서 재·보궐선거가 실시됩니다. 이는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해 선출된 공직자의 자리가 공석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번 선거를 통해 새로운 교육감,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을 선출하게 됩니다.
투표일 : 2025. 4. 2(수)
예비후보자등록 신청
- 2024. 12. 3(화)부터(국회의원, 시·도지사 및 교육감선거)
2024. 12. 20(금)부터(시·도의원, 구·시의원 및 장의 선거)
2025. 1. 19(일)부터(군의원 및 장의 선거)
후보자등록 신청
- 2025. 3. 13(목) ~ 3. 14(금)[매일 09:00 ~ 18:00]
사전투표
- 2025. 3. 28(금) ~ 3. 29(토)[매일 06:00 ~ 18:00]
선거일 투표
- 2025. 4. 2(수)[06:00 ~ 20:00]
선거 실시 지역 및 사유
교육감 (1곳)
- 부산광역시: 하윤수 교육감의 당선 무효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기초단체장 (5곳)
- 서울특별시 구로구: 문헌일 구청장의 사직으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충청남도 아산시: 박경귀 시장의 당선 무효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전라남도 담양군: 이병노 군수의 당선 무효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경상북도 김천시: 김충섭 시장의 당선 무효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경상남도 거제시: 박종우 시장의 당선 무효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광역의원 (8곳)
- 대구광역시 달서구 제6선거구: 전태선 의원의 당선 무효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인천광역시 강화군: 박용철 의원의 사직으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대전광역시 유성구 제2선거구: 송대윤 의원의 사망으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제6선거구: 이기인 의원의 사직으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경기도 군포시 제4선거구: 김판수 의원의 사망으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충청남도 당진시 제2선거구: 이완식 의원의 당선 무효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경상북도 성주군: 강만수 의원의 당선 무효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제12선거구: 이장우 의원의 당선 무효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기초의원 (9곳)
- 서울특별시 중랑구 다선거구: 신예진 의원의 당연 퇴직으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사선거구: 김영미 의원의 사망으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서울특별시 동작구 나선거구: 조진희 의원의 피선거권 상실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가선거구: 오현식 의원의 사직으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전라남도 광양시 다선거구: 신용식 의원의 당선 무효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전라남도 담양군 라선거구: 최용호 의원의 피선거권 상실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전라남도 고흥군 나선거구: 신건호 의원의 당선 무효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경상북도 고령군 나선거구: 이달호 의원의 사망으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 경상남도 양산시 마선거구: 김태우 의원의 사직으로 인해 선거가 실시됩니다.
주요 선거 사유
이번 재·보궐선거의 주요 사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당선 무효: 선거법 위반 등으로 당선이 무효화된 경우입니다.
- 사직: 개인적인 사유로 공직을 사임한 경우입니다.
- 사망: 재임 중 사망한 경우입니다.
- 피선거권 상실: 법률 위반등으로 피선거권이 상실된 경우입니다.
- 당연퇴직: 법률에 의해 당연퇴직된 경우입니다.
선거 관련 추가 정보
- 정확한 투표 시간 및 장소는 추후 해당 선거관리위원회에서 공지될 예정입니다.
- 선거 관련 자세한 정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재·보궐선거를 통해 각 지역의 발전을 이끌어갈 적임자가 선출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정치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4.2. 재·보궐선거 일정 (0) | 2025.02.25 |
---|---|
2025.4.2. 재·보궐선거 예비후보자 명부 (0) | 2025.02.25 |
홍장원 논란 완벽 정리 정치인 체포 지시와 메모 신빙성 논란 (0) | 2025.02.24 |
21대 대통령선거 차기 주자 명단 (정당별 분류) (0) | 2024.12.16 |
헌법재판소 재판관 6인 명단 (0) | 2024.12.16 |